목적
- 단위 학교의 장기간 사용하지 않는 도구의 순환 및 공동 활용 방안 강구
- 고가의 미술도구 중복 구입으로 인한 예산 낭비 방지 및 도구의 활용도 증진
- 학교 간 미술도구 공유로 학교 간 예술교육 정보 공유 및 학생들에게 다양한 경험 제공
- 학생 예술교육의 다양성 및 확장성을 위한 기반 마련을 통해 예술교육 활성화 도모
운영방법
- 교육청
- 화방공유마당 운영을 위한 예산 확보 및 추진 계획 수립
- 화방공유마당 온라인 시스템 구축 및 전담 운용 인력 확보
- 화방공유마당 활성화를 위한 학교 안내 및 학교 간 연계 지원
- 단위학교
- 학교에서 보유 중인 유휴미술도구에 대한 현황 파악 및 시스템 등록
- 미술도구에 대한 관리전환(이관) 시 각 학교 담당자 및 행정실 간 협조
- 유휴미술도구는 학교 간 협의로 대여 또는 관리전환(이관) 형태로 운영
- 유휴미술도구의 인계·인수 관련 및 관리 비용은 인수학교 자체 예산으로 처리
운영내용
- 학교가 보유한 ‘잠자는 미술도구(유휴미술도구)’중 수요가 있는 학교와의 공유(대여)를 통해 학교예술교육의 다양성 확보
잠자는 미술도구(화방공유마당 대상 물품) 기준
- 학교 보유 미술도구 중 사용하지 않고 장기간 보관만 하고 있는 도구
- 간단한 수리·관리를 통해 실제 사용이 가능한 도구(폐기 대상 미술도구 제외)
※ 잠자는 미술도구 예시: 가마, 프레스, 물레 등(물감 등 소모품 제외)